안녕하세요. 가자미입니다.
여러분 여러분이 어릴때 붕어빵은 얼마였나요? 제가 초등학교때만 해도 1000원에 4~5개정도는 했던것 같지만 지금은 붕어빵 가격을 보면 고민하게 되더라구요. 작년까지 붕어빵의 시세는 서울 기준 1000원당 3~4마리 였지만 올해 들어서 1000원당 2마리로 가격이 인상되었습니다. 심지어 심한곳은 1개에 1000원 하는곳도 있다고 하구요...그럼 이런 서민물가에 타격을 입히는 이유가 뭘까요? 한번 조명해보겠습니다.
붕어빵 가게에서 하루 장사를 위해선 필요한 붕어빵 반죽이 10~20kg 정도 됩니다. 반죽에는 밀가루, 식용유, 설탕등이 들어가는데 이러한 재료들 가격이 대폭 올랐죠. 특히 한국소비자단체 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상승률이 높은 상위 3개 품목이 밀가루(42.7%), 식용유(32.8%), 설탕(20.9%)였습니다. 밀가루 같은경우 1kg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평균 가격이 1476원에서 2107원으로 631원(42.7%)나 올랐습니다. 또한 한국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붕어빵에 들어가는 팥소에 쓰이는 수입 붉은팥 40kg의 평균 도매가가 지난해보다 19300원 오른 27800원이였습니다.
그럼 이러한 현상은 왜 일어날까요? 물론 금리인상도 한몫했지만 제일 큰 사건은 아마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전쟁일것입니다. 세계 밀 수출 순위 1위인 러시아와, 5위인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하여 밀가격이 오른것입니다. 특히 우크라이나 같은경우 전쟁으로 인하여 항구가 막혀서 이러한 현상은 더 심해지는 것이지요.
이러한 전쟁여파는 점점 더 심해지고 있는데요. 러시아가 흑해를 지나는 우크라이나 곡물수출 선박을 공격하지 않기로 한 협정을 지키지 않겠다해서입니다. 이러한 우려로 31일 시카고상품거래소 에서는 밀 선물 12월물 가격은 7.7%나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곡물 시장 점유율 밀27%, 보리 23%, 옥수수 14%등으로 둘의 전쟁은 전세계에 크게 작용했습니다. 더군다나 세계 4대 곡창지대의 흉작도 한몫했습니다. 우크라이나 흑토지역, 북미의 프레리, 아르헨티나의 팜파스등 모두 생산에 부진을 격고있어 올해는 정말 최악의 인플레이션인것 같네요.
위의 문제도 크지만 전체적인 소비자 물가지수의 상승도 큰 원인입니다. 곡물을 옮기기 위해선 많은 에너지와 인력들이 동원되고 붕어빵을 만들기 위해서도 연료가 들어갑니다. 이러한 복합적 소비자 물가가 금리 인상으로 인하여 점점 올라가게 되는데요.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를 보면 2020년을 100으로 봤을때 2022년 9월 108.93으로 8.93%나 상승한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 지수가 상승한 이유 중 하나는 미국의 금리인상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와 교역을 많이 하는 나라 2위입니다. 1위는 중국이구요. 또한 미국은 전세계의 큰 영향을 미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미국은 지금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계속해서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그에따라 원달러 환율도 높아져 우리 경제에 타격을 주죠. 이러한 부분이 우리 서민식탁 문턱까지 다가온것 같습니다.
이렇게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아직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아서 인데요. 또한 금리를 올림에도 불구하고 고용과 경제 자체가 견고한 모습을 보여 FOMC의 금리 인상의지를 더욱 불태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있을 FOMC회의에 더욱 집중할 필요가있습니다. 이번 회의로 금리인상폭이 조절될텐데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이 유력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 PCE의 상승이 영향을 끼치는 모습입니다.
또한 미국의 개인소비지출이 아직까지 6.2%로 매우 높은 상태이고 고용또한 매우 견고한 상태입니다. PCE물가지수 세부항목을 보더라도 상품보다 서비스 가격 상승률이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 상승률이 높다는것은 사람들이 서비스 품목(헬스케어, 운송, 주거, 숙박등)에 소비를 하는, 매우 풍요로운 생활을 하고 있다인데요. 이번 FOMC회의에 이러한 부분들이 반영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매우 힘든시기 모두 잘버티시길 바라며 오늘은 붕어빵 한개 어떠신가요?
'내 생각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은 어떻게 늘어나는가? (3) | 2022.10.31 |
---|---|
돈은 어디서 오는가? (2) | 2022.10.31 |
채권에 관하여 (6) | 2022.10.29 |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P.F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10.26 |
코오롱 티슈진 무슨회사야? (0) | 2022.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