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상남도 고추 농장 이야기입니다.
시설면적: 9917㎡(3000평)
시설유형: 연동온실
제배방법: 양액 및 토경 관비재배
ICT 투자 현황: 6000만원(정부지원 3000만원자부담 3000만원)
유통방법: 경매시장 출하 100%
ICT 도입장비현황
센서 | 환경기기 | 영상기기 | 제어노드 및 공급기 | 양액공급제어 |
내부온도센서 내부습도센서 CO2 센서 외부온도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일사량센서 감우센서 |
천장 측창 차광막 보온커튼 유동팬 배기팬 CO2공급기 |
CCTV 영상저장장치 |
복합환경제어 | 양액 및 관비제어 |
도입전 | 도입후 | |
단위면적(1㎡)당 생산량 변화 | 6.4kg | 8.4kg |
단위면적(1㎡)당 매출액 | 40300원 | 45400원 |
노하우
스마트팜의 장점은 연중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사전준비는 철저한게 좋다. 많은 교육과 우수 스마트팜 농가를 찾는것도 중요하다. 작물선택은 인력이 적게들고 작물의 주산지 농장이 유리하다. 특히 작물을 정하고 꼭 작물의 주 생산지에서 많은 노하우를 들어야한다. 또한 관련 거래업체와 시설업체등 다양한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다. 스마트팜 같은경우 아직 높은 초기 투자비용이 부담인건 맞다.
고추농장이 말하는 스마트팜 운영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것.
1. 작물의 주 생산지를 가보라
2. 스마트팜에 대해 공부를 철저히 할것
3. 부담없는 작물을 선택할것
320x100
'미래에는 과연 >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7탄 화훼농장 (1) | 2022.08.21 |
---|---|
스마트팜5탄 고추냉이 (0) | 2022.08.19 |
스마트팜4탄 양송이버섯 (0) | 2022.08.18 |
스마트팜 성공사례 3탄 파프리카 (0) | 2022.08.17 |
스마트팜 성공사례 2탄 (0) | 2022.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