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라남도 장흥군 화훼 농장 이야기입니다.
시설면적: 6611㎡(2000평)
시설유형: 연동온실
제배방법: 토경재배
ICT 투자 현황: 5000만원(정부지원 4000만원 자부담 1000만원)
유통방법: 양재 화훼 공판장 1/3, 경부 호남선 위탁상인 출하2/3
ICT 도입장비현황
센서 | 환경기기 | 영상기기 | 제어노드 및 공급기 | 양액공급제어 |
내부온도센서 내부습도센서 내부일사량센서 외부온도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일사량센서 감우센서 토양온도센서 토양수분센서 |
천장 측창 차광막 보온커튼 유동팬 배기 |
CCTV 영상저장장치 |
복합환경제어 | 관비공급제어 |
도입전 | 도입후 | |
단위면적(1㎡)당 생산량 변화34본 | 34본 | 45본 |
단위면적(1㎡)당 매출액 | 17000원 | 22100원 |
노하우
꽃 농사에 제일 중요한것은 일사량이다. 광이 많이 들어올수록 좋기에 제어할 필요가 없다. 천창을 열고 닫을 필요 없이 최대 광을 위해 항상 열어두면 되기 때문이다. 일사량이 높아 광합성을 많이 해도 CO₂ 민감 작물이 아니라서 CO₂ 공급기도 필요하지 않다. 지금 제일 문제되는것은 인력이다. 인건비가 매우 비싸기때문에 사람을 많이 못쓴다.
화훼농장이 말하는 스마트팜 운영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것.
1.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2. 몸이 편할려면 스마트팜 도입이 필요하다.
320x100
'미래에는 과연 >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6탄 고추 (0) | 2022.08.20 |
---|---|
스마트팜5탄 고추냉이 (0) | 2022.08.19 |
스마트팜4탄 양송이버섯 (0) | 2022.08.18 |
스마트팜 성공사례 3탄 파프리카 (0) | 2022.08.17 |
스마트팜 성공사례 2탄 (0) | 2022.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