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것들

유럽의 에너지난과 친환경 에너지

by Gajamee 2022. 8. 23.
728x90

현재 유럽은 에너지난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특히 여지껏 친환경으로 꿀빨던 모습은 어디가고

 

기후변화와 러시아산 에너지수급이 어려워지면서

 

더 힘든 모습을 보이는데요.

 

유럽은 예전부터 러시아의 에너지 수입을 꾸준히 해왔습니다. 특히 유럽전체의 러시아 에너지 수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석유:26%

석탄:46.7%

천연가스:41.1%

 

이렇다 보니 유럽은 지금상황이 가장 힘든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에 대한 의지는

 

아직까지 살아있는걸로 보여지는 행보를 보여줍니다.

 

독일,네덜란드,덴마크,벨기에 4개국은 2022년 5월 18일 2050년까지 해상풍력발전 규모를

 

현재의 10로 늘리기로한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이 협정엔 2030년까지 65GW, 2050년까지 최소 150GW에 달하도록 해상풍력발전 용량을 키우겠다는 포부가

 

담겨있습니다. 이 해상풍력발전을 통하여 EU의 전반적인 에너지 수입량을 감축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최근 REPowerEU라는 러시아 에너지 의존 중단과 친환경 전환 가속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핵심의재

1. 에너지 소비 절감, 에너지효율지침에 따른 2030년 에너지소비 9% 감축>13%감축으로 확대

 

2.에너지 공급망의 다변화를 통하여 탈러시아 천연가스

 

3.신재생 에너지 인허가 절차 단순화

 

1.에너지 소비절감

건물부문에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고 가스 난방 비중을 감축한다고 합니다.

주요 방안으로 태양광 패널 및 열펌프 보급과 에너지 효율 향상이 제시되었고 2022년 말까지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요를

18Bcm 감소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상 여려운 부분인데 각 가정마다 3kW설치 비용도 정부지원금 받으면 400만원인데 이 비용을 해결할지가 문제입니다. 또한 소비자의 에너지 절약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를 5% 절감한다는데

개인에게 너무 많은것을 기대하는것이 아닌가 싶구요.

 

2.에너지 공급망의 다변화

미국, 카타르, 이집트, 아제르바이잔, 터키, 서아프리카 지역 등으로 천연가스 수입선을 다변화하며, 이를 위한 역내 LNG 터미널 등의 기반시설을 증설는데 2022년 말까지 총60Bcm의 천연가스를 들여올 것으로 적혀있습니다. 

*REPowerEU 에너지 확보 내용 LNG,비러시아산가스,신재생에너지,에너지세이빙,기타

그나마 근거있는 내용인것 같습니다. 현재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이후 유럽은 미국과의 LNG거래를 통하여 LNG를 확보하였습니다. 물론 많은 비용이 드는 부분이지만 앞으로 인프라를 늘린다면 가격은 점차 내려가겠지요. 위에 보이시는 표와같이 LNG가 에너지 확보의 50%를 차지하는 부분도 지금 시점과 맞는것 같구요.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도 효과를 보겠네요. 우리나라는 지금 세계 LNG선 주문 점유율이 82.4%이니까요. 

 

아직 유럽은 전체 에너지의 51%를 화석연료와, 가스를 쓰고있습니다. 친환경에너지의 비율을 높이기엔 고효율 에너지가 필요한 공장이나 큰시설 운영의 소비전력이 부담스러우니까요. 하지만 이번 러시아의 협박을 통하여 언제까지 당하고 있을 수 없다, 친환경 에너지의 개발을 가속화하자라는 의지가 보이는 행보인것 같습니다.

320x100

댓글